파일을 클릭해 새창에서 다운로드 해 출력하거나 굿노트 등 노트 프로그램에 올려 사용하세요.
파일을 클릭해 새창에서 다운로드 해 출력하거나 굿노트 등 노트 프로그램에 올려 사용하세요.
| 단어/표현 | 의미 | 
|---|---|
| mill | [명사] (특정한 재료를 만드는) 공장 | 
| - 여기에서처럼 puppy 등 다른 단어와 합쳐져 특정한 합성어 또는 복합명사를 만들 수 있는 명사로 어떤 특정한 물건 등을 제조해 내는 공장을 의미해서 강아지 번식장에 걸맞는 단어로 mill을 선택해 내용을 구성했습니다. | |
| thrive | [동사] 번성하다, 번창하다 | 
| even | [부사] 심지어 …조차 | 
| increasingly | [부사] 점점 더 …하게 | 
| adopt | [동사] 입양하다 | 
| animal shelter | [명사] 동물 보호소 | 
| even though | [접속사] 심지어 …임에도 불구하고 | 
| charity | [명사] 자선단체 | 
| continue to + 동사원형 | 계속해서 …하다 | 
| supply A with B | A에게 B를 공급하다 | 
| awful | [형용사] 끔찍한 | 
| raise | [동사] …를 기르다 | 
| often | [부사] 종종, 자주 | 
| abuse | [동사] 학대하다, 함부로 대하다 | 
| tiny | [형용사] 아주 자그마한 | 
| filled with | …로 가득찬 | 
| fur | [명사] 동물의 가죽에 붙은 털 | 
| feces | [명사] 대변, 분변 | 
| vomit | [명사] 구토 | 
| inject A with B | A에게 B를 주사하다 | 
| hormone | [명사] 호르몬 | 
| force to + 동사원형 | …하라고 압박을 가하다 | 
| breed | [동사] 번식하다, 새끼를 낳다 | 
| no longer | 더 이상 …않게 | 
| clean up | 깨끗하게 만들다, 닦다 | 
| be sold | 판매되다 | 
| for a profit | 이윤을 남겨서 | 
| fail to + 동사원형 | …하는데 실패하다 | 
| generally | [부사] 일반적으로, 전형적으로 | 
| return A to B | A를 B로 돌려주다 | 
| - 여기에서는 수동태로 써서 A가(팔리지 않은 강아지들이) B로 되돌아오다를 의미하게 됩니다. | |
| once again | 다시 한번 | 
| get sick | 아파지다, 아프게 되다 | 
| - 동사 get과 형용사 또는 형용사-분사를 함께 쓰면, 원래는 그런 상태가 아니었던 상황에서 뒤이어 나오는 형용사-보어 또는 보어 자리에 쓰이는 분사의 내용으로 전환되는 상황에 적합합니다. “~해 지다” | |
| abandon | [동사] …를 버리다 | 
| fend for oneself | 스스로를 돌보다, 알아서 살아가다 | 
| - fend [동사] 꾸려가다, 부양하다 | |
| survey | [명사] 여론조사 | 
| agriculture | [명사] 농업 | 
| forestry | [명사] 임업 | 
| fisheries | [명사] 어업 | 
| respondent | [명사] 응답자 | 
| acquire | [동사] 얻다 | 
| government-run | [형용사] 정부가 운영햐는 | 
<aside> <img src="/icons/condense_gray.svg" alt="/icons/condense_gray.svg" width="40px" /> “한국의 젊은이들이 동물 보호소에서 강아지를 입양하는 것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강아지 번식장이 성행하다”
한국 젊은이들이 점점 더 많이 동물 보호소 또는 동물 자선단체로부터 강아지를 입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, 한국 사람들이 계속해서 강아지 번식장으로부터 강아지를 공급받는 펫샵을 통해 강아지를 구입하기 때문에 강아지 번식장이 번성하고 있습니다.
강아지 번식장이 왜 그렇게 끔찍한 것일까요? 강아지 번식장에서 길러진 강아지들은 종종 학대당하고 자기 털, 배설물, 구토로 가득한 작은 철장에서 키워집니다. 호르몬 주사를 맞고 이른 나이부터 시작해 더 이상 번식이 불가능할 때까지 억지로 새끼를 낳다가 깨끗하게 닦여 이윤을 위해 팔려질 펫샵으로 보내집니다. 펫샵에서 팔지 못하면 다시 번식장으로 돌아와 다시 한번 새끼를 낳게 되다 번식이 더 이상 불가능하거나 병에 걸린다면 죽임을 당하거나 길거리로 버려져 혼자서 알아서 살아가야 합니다.
2022년 설문조사에 따르면, 한국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(EPIS)은 1,272명의 응답자들 중 21.9%가 반려동물을 펫샵에서 데려왔는데 이는 2020년보다 3.3% 증가했음을 알아냈습니다. 그렇지만 좋은 소식도 있습니다. 응답자의 5.6%는 보호소나 동물 자선단체에서 입양했다고 말했는데, 이는 2020년의 1.8%보다 증가한 수치이고, 정부가 운영하는 보호소에서 반려동물을 입양한 사례는 5.8%로 2020년의 3%에서 증가했습니다.
</aside>
🎵 1번 재생 음성 파일
💁♀️ 작문/토론 주제와 주제에 대한 예시 답변